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코로나
- Privarcy
- 뉴스클리핑
- log4shell
- 개인정보
- 취약점
- Ai
- 정보보호
- 랜섬웨어
-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
- 취약점 법률
- 박나룡 칼럼
- 개인정보보호
- CVE
- 정보보안
- 프라이버시
- IoT
- isms
- 클라우드
- 위협대응보고서
- 박나룡
- log4j
- 데이터3법
- 취약점 점검 법률
- 정보보호관리체계
- KISA
- EDR
- 보안
- 아파치재단
- 중소기업
- Today
- Total
목록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(5)
컴맹에서 정보보호 전문가로 성장하기

해당 게시물은 2020년 초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니 참고 바랍니다. 조만간 2021년 기준으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. 문의사항은 heaven200910@gmail.com 으로 연락바랍니다. 취약점 점검이 필요한 이유 정보보안 및 침해 사고 방지를 위해 우리는 법적인 규제를 통해 정보자산에 대한 위험관리를 해야만 한다. 이것을 이해하려면 아래와 같은 선행지식이 필요하다. 취약점 : 정보자산의 약점, 결함, 허점 위협 : 취약점을 통해 피해를 줄 수 있는 능동적인 공격들 위험 : 위 두 가지의 결과 자산(가치) * 취약점(영향) * 위협(빈도) = 위험 즉 컨설팅의 목적은 위험 관리이다. 위험을 관리하는 활동, 리스크 관리, 이 위험으로부터 자산을 지키기 위한 활동으로 취약점 분석 등을 통하여 위험도를 산출한 ..
Finger(사용자 정보 확인 서비스) :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까지 보여줌 (who 명령어는 현재 사용 중인 사용자들에 대한 간단한 정보만을 보여줌) => 비인가자에게 사용자 정보 조회되어 패스워드 공격 or 시스템 권한 탈취 위협있음 =>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당 서비스 중지 Anonymouns FTP(익명 FTP) : 누구든지 계정 없이도 익명 또는 ftp라는 로그인 명과 임의의 비밀번호로 FTP를 실행할 수 있음 => 위에만 봐도 당연히 익명으로의 접속을 차단해야 함 cron 시스템 : 특정 작업을 정해진 시간에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데몬과 그 설정들 => 일반사용자에게 권한을 안주도록 설정 D..
정리 목표 : 1단계로 정독보다 흝어보기. 중요 파일에 대해 숙지하여 후에 조치방법에 대해 이해하기 위함.(그래서 이렇게 해야하구나) => 완벽하게 알려는 것보다 익숙해지는 것에 초점 => 모르는 것이 나와도 지금은 일단 넘어갈 것. /etc/passwd : 사용자의 ID, 패스워드, UID, GID, 홈 디렉터리, 쉘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=> 중요한 파일이니 만큼 파일의 소유자와 권한을 설정해줘야 함 => 소유자를 root, 권한은 644 /etc/hosts : IP 주소와 호스트네임을 매핑하는 파일. DNS(도메인 네임 서비스)보다 hosts 파일을 먼저 참조함. => 그렇기 때문에 hosts 파일을 비인가자가 변조하여 (파밍) 정상적인 DNS를 우회하여 악성사이트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것을 방지해..
GID(Group Identification) :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 개체를 공유할 수 있게 연계시키는 특정 그룹의 이름으로 주로 계정처리 목적으로 사용되며, 한 사용자는 여러 개의 GID를 가질 수 있음 => /etc/group 파일만으로 구성원이 없는 group이라 판단할 수 없음 => /etc/passwd와 /etc/group을 같이 확인하여 판단 권고 => 불필요한 그룹 제거 UID(Uwer Identification) :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자신을 대표하기 위해 쓰는 이름 => 패스워드 파일 수정 변경 및 신규 사용자 추가 시 UID가 동일한 계정이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함 => 동일한 UID로 설정된 사용자 계정을 제거 쉘(Shell) : 대화형 사용자 인터..